감기, 근육통엔 모과 차 한 잔,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울퉁불퉁 별로 예쁘게 생기지 않은 모과는 겉모습과는
다르게 매우 좋은 향과 효능을 지니고 있는 과일이다.
9~10월 가을이 제철인 모과는 향이 좋아 차로 많이 즐기기도 한다.
모과 차는 감기에 좋아 추운 날 더욱 찾게 되는 모과의 특징과
효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모과나무의 열매인 모과는 나무에 달리는 참외 비슷하게 생긴
열매라고 해 목과라고 쓰기도 한다.
가을에 노랗게 익으며, 향기는 좋지만 산미와 떫은맛이 강하고 과육이
조금 뻣뻣하고 퍼석하기 때문에 생으로 먹기는 힘든다.
과육을 꿀에 재워 정과를 만들어 먹거나 과실주, 차를 끓여
먹는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특히나 감기에 걸렸을 때 따뜻한 모과 차를 먹으면 좋다.
또한 잘 익은 모과는 향이 좋기 때문에 방향제로 사용되거나
한방에서 약재로도 널리 이용된다.
모과는 신맛과 떫은맛이 강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이 먹기엔 힘이 든다.
때문에 얇게 썬 모과를 설탕이나 꿀에 절여 모과 차를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모과 차는 감기나 몸살을 예방, 완화하기에 좋은 식품이다.
모과는 사포닌과 비타민 C, 구연산,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성분들은 피로 해소와 감기 예방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나 모과는 폐를 보호하고 기관지를 튼튼해지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기침 가래 완화에 도움을 준다.
면역력이 약해 쉽게 피로해지며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특히나 목감기에 자주 걸린다면 모과 차를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모과는 근육통 완화에도 좋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근육이 아픈 경우에 먹어도 도움이 된다.
모과의 신맛을 내는 유기산 성분은 근육을 원활하게 움직이게 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해 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근골격을 강화하고 연골조직을 부드럽게 하기 때문에 디스크에 주사제로 많이 사용하는데
주사로 투여하게 되면 효과 빠르게 통증을 줄이는 데에 효과적이다.
근육통 외에 근육경련이나 팔다리가 저린 경우, 쥐가 잘 나는 경우에도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는데, 이는 모과가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데에 좋은 식품이기 때문이다.
피로가 많이 쌓였거나 근육통이 왔을 때 섭취하기 좋은 과일이다.
모과의 과육은 소화 기능을 튼튼하게 해 준다.
때문에 자주 설사를 하거나 배가 더부룩한 증상이나 트림이 자주 나오고,
가슴 밑이 답답한 증상들을 가지고 있을 때 먹으면 좋다.
구역질이 나거나 자주 체하는 사람들에게도 좋다.
모과의 신맛을 내는 유기산 성분과 비타민 C, 사과산, 구연산,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의
성분들은 설사를 막아주고, 설사 뒤에 오는 갈증도 해결해 주며, 설사할 때
다리에 경련이 나는 것까지 완화해 준다.
더불어 모과는 신진대사를 도와 숙취해소에도 도움을 주는 식품이다.
모과청 만드는 방법
1. 정유 성분 때문에 겉면이 미끄러울 수 있으니 베이킹 소다로 깨끗하게 씻어냅니다.
2. 씻은 후 물기를 닦아낸 모과를 절반으로 갈라 씨를 제거합니다.
3. 손질된 모과를 얇게 썹니다.
4. 얇게 썬 모과와 설탕을 1:1 비율로 병에 넣습니다.
5. 실온에서 2주 정도 숙성시킵니다.
6. 숙성된 모과청에 따뜻한 물에 넣고 꿀로 맛을 조절해 차로 만들어 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