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靜
예 사람이나, 오늘 우리나 바쁜 건 마찬가지였던 모양이다.
그러므로 옛 사람들은 靜(고요할 정, 맑을 정, 단정할 정)에 관한 좋은 글귀를 써서
책상머리에 붙여두고 정 靜 을 추구하였다.
靜中動 動中靜 정중동 동중정 : 고요함 가운데 움직임이깃들어 있어야 하며,
움직임 가운데 고요함이 깃들어 있어야 한다.
靜有威 躁無威 寂然不動 정유위 조무위 적연부동 : 고요한 중에 위엄이 깃들고,
조급한 중에 위엄이 사라지는 법, 그러므로 항사 고요하여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不靜坐不知忙之耗神者速 不乏應不知閑之養神者眞
부정좌부지망지모신자속 불핍응부지한지양신자진 : 고요하게 앉아보지 않고는 바쁜 삶이
정신을 얼마나 속히 황폐하는지 알 수 없고,
이리저리 불려 다니는 사람은 한가함이 얼마나 정신을 참되게 길러주는지 알지 못한다.
夫君子之行 靜而修身 儉以養德 非淡白無以明志 非寧靜無以到遠부
군자지행 정이수신 검이양덕 비담백무이명지 비녕정무이도원 :
무릇 군자의 행실은 고요함으로 몸을 닦고, 검소함으로 덕을 기른다.
담백함이 아니고는 뜻을 밝게 할 수 없고, 마음이 평안한 고요함 없이 멀리 갈 수 없다.
靜座然後知平日之氣浮(정좌연후지평일지기부)
守默然後知平日之言 (수묵연후지평일지언조)
省事然後知平日之費閑 (성사연후지평일지비한)
閉戶然後知平日之交濫 (폐호연후지평일지교람)
寡慾然後知平日之病多 (과욕연후지평일지병다)
近情然後知平日之念刻 (근정연후지평일지염각)
고요하게 정좌한 후에야 평소 마음이 이리저리 들떠 있었음을 알았고,
고요하게 침묵한 후에야 평소 말이 조급하였음을 알았고,
일을 줄인 후에야 평소 쓸데없는 일에 시간을 낭비하였음을 알았고,
문을 닫아건 후에야 평소 인간관계가 번잡하였음을 알았고,
욕심을 줄이고 난 후에야 평소 욕심이 사나웠음을 알았고,
가까운 사람들에게 관심을 둔 후에야 평소 그들에게 각박하였음을 알았다.
但得心閑隨處樂 不須朝市與雲山단득심한수처락 불수조시여운산 : 마음이 한가하여 어디서나
즐거울 수 있다면,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번잡한 시장통에 살든 구름 드리운 깊은 산골에 살든
문제 될 것이 무엇이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