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이미지 발췌
중보기도 Intercessory Prayer
W.B.Hunter는 기도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도를 7가지로 분류하였다.
(1) 예배 때 드리는 찬양-경배-감사 기도(praise-thanksgiving-adoration)
(2) 말씀을 깊이 묵상하는 기도(contemplation and meditation)
(3) 고백-애통-통곡으로 죄를 고백하는 기도(confession-lamentation)
(4)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맹세-서약하는 기도(declaration-affirmation-oath)
(5) 기원-송영-축도(invocation-doxology-benediction)
(6) 복수와 저주를 비는 기도(complaint-imprecation-curse)
(7) 간청-간구-청원-중보기도(entreaty-petition-supplication-intercession)
* 구약에서 중보中保에 해당하는 말은 히브리어 ‘파가’인데, 우리말 성경에는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사53:6), 기도하였느니라(사53:12)에 사용되었고,
영어로는 ‘intercession for’로 번역되었다.
* 신약에서 중보中保에 해당하는 말은 ‘엔퉁카노(명사형), 엔튜크시스(동사형)’인데,
행25:24, 롬8:26, 27, 34, 롬11:2, 히7:25, 딤전2:1, 4:5 등에 나타난다.
우리말로는 주로 ‘간구, 기도’라고 번역하였다.
특이한 것은 딤전2;1에 이 말을 도고禱告 라고 하였는데 우리말 성경에 단 한 번 나온다.
영어성경은 주로 ‘intercession for-interceding for’ 로 번역하였다.
이 구절에서 쓰인 기도, 간구intercession 이라는 말은 일반적 의미의 기도, 간구, 청원이 아니라
누구누구를 위하여 간구하는 중보기도中保祈禱 를 의미한다.
중보中保 intercession 라는 말은 양립할 수 없는 두 당사자 사이의간극間隙을
중재仲裁 , 화해和解, 조정調停 짐을 나누어지는 것, 대표자가 되어 두 당사자를 설득하여
평화를 이루어낸다는 뜻이다.
중보기도中保祈禱는 나 아닌 다른 사람, 국가, 민족, 교회, 선교, 주의 종, 위정자, 가족,
친척, 친구, 이웃 중 그 누군가의 죄, 고통, 어려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답답함, 멸망으로
치닫는 상황 등을 위하여, 불의한 재판관에게 불철주야不撤晝夜 간구하여 소원을 이룬
과부(눅18:1-8)와 같이 하나님께 아뢰고 그를 구원, 용서, 회복시켜주시기를 간청, 청원, 간구,
호소하는 기도다. 중보기도를 해 보신 적이 있을 줄 안다.
그러나 저 과부처럼 하셨는지요? 하나님께서 “이 과부가 나를 번거롭게 하니 내가 그 원한을 풀어 주리라
그렇지 않으면 늘 와서 나를 괴롭게 하리라(눅18:5)” 하실 만큼 말이다.
중보기도에는 그 사람뿐 아니라 중보기도 드리는 사람도 변화시키는 막강한 힘이 있다.
참고: 김종필, 《하늘보좌 중보기도》, 규장출판사. 50~81쪽.